카테고리 없음

그냥 눈물이 나는 경우

H아주미 2024. 10. 21. 13:22
반응형

눈물이 그냥 나는 경우 

-> 우울증과 무기력증의 증상 중 하나.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을때

->난 잘 지내고 있나? 위로가 필요할때 

->힘들다고 마음이 이야기 해주는경우 

->그래도 극복해내야 하지 않을까....

 

우울증 

우울증은 생각의 내용, 사고 과정,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 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이러한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기분이 저하되는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즐겁고, 슬픈 일이 있을 때 슬퍼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것입니다. 

 

우울증의 확실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다른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① 생화학적 요인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GABA 등)과 호르몬(갑상선, 성장 호르몬,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 이상, 생체 리듬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② 유전적 요인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주요 우울증을 앓고 있으면 다른 한 명도 우울증이 걸릴 확률이 50% 정도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주요 우울증 발병에 유전적 요소가 작용하는 것은 명확합니다. 그러나 유전적 요소로 설명되지 않는 요인도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주요 우울 장애와 관련하여 일관성 있게 보고된 유전자 이상은 없습니다. 

 

③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만으로 주요 우울증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우울증 증상 발현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살아가면서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이 우울증 유발의 환경적 요인이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 경제적 문제, 강한 스트레스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우울증의 진단 기준(DSM-IV)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2주 이상,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② 일상 대부분의 일에서 관심 및 흥미 감소
③ 식욕 감소 또는 증가(체중 감소 또는 증가, 한 달에 5% 초과)
④ 불면 또는 과다 수면
⑤ 정신운동 지연 또는 정신운동 초조
⑥ 피곤 또는 에너지의 감소
⑦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⑧ 집중력 저하, 우유부단
⑨ 반복적인 자살 생각

 

위에서 언급한 증상 중 5개 이상(1, 2번 중에 하나 이상 포함)이 있고, 이러한 증상이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저해하면 우울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1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무기력증 

무기력증(無氣力症, 영어: Lethargy)이란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기력감, 회의감, 피로감, 의욕 저하 등의 일련의 증세를 말한다. 우울증의 초기 증상 또는 동반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아니다.[1][2] 일본에서는 특히 5월에 무기력증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아 오월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5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렐 히네크 마하의 서정시에 대해서는 5월 (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월(五月, Ma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 중 하

ko.wikipedia.org

 

무기력증을 겪는 사람에겐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첫째, 자발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3] 스스로 상황을 통제하지 못한다고 여기면 행동하지 않을 가능성도 커진다. 둘째, 부정적인 인지가 형성된다. 쉽게 말하자면 '나는 뭘 해도 안돼'라고 스스로 생각해버리는 것이다. 셋째, 신체적인 병을 동반할 수 있다.[4] 무기력증을 겪으면 면역력이 약해져서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5] 네번째, 식욕이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우울증에 걸린 사람에게서도 나타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다섯째, 피로감을 많이 느낀다.[6] 여섯째,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줄어들며 고립되고자 한다. 일곱째, 마음이 조급하고 어떤 일에 과민반응을 보이기도 한다.[7]

 

무기력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기력증(無氣力症, 영어: Lethargy)이란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기력감, 회의감, 피로감, 의욕 저하 등의 일련의 증세를 말한다. 우울증의 초기 증상 또는 동반 증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A%B8%B0%EB%A0%A5%EC%A6%9D

 

무기력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기력증(無氣力症, 영어: Lethargy)이란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기력감, 회의감, 피로감, 의욕 저하 등의 일련의 증세를 말한다. 우울증의 초기 증상 또는 동반 증

ko.wikipedia.org

 

반응형